오늘은 브레이킹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라이딩중 이런 경우가 이런경우들이 생깁니다. 도로를 라이딩하다 옆에서 뛰어나오는 아이를 보고 끽하다 뒤집어졌다. 산을 달리다 위험한 지형, 정지를 하려고 했으나 정지는 못하고 오히려 그 지형으로 빠져버렸따. 등등...
라이딩을 하다보면 놀라는 상황에서 급제동으로 인한 사고가 생깁니다. 주로 강력한 앞브레이킹 때문에 앞으로 전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경우를 조금이라도 줄여보고자 써봅니다. 평상시 자신의 속도에 대한 제동거리를 아십니까? 예를 들어 20달릴때와 30키로 달릴때 그리고, 내리막에서 달리다 완전정지할수 있는 거리를 자신이 숙지하여야합니다.
여러경우 들어보겠습니다. 1. 평지에서의 경우 속도에 비해 길어지는 제동거리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합니다. 평지라도 아스팔트와 비포장의경우는 현격히 달라집니다.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서도 제동거리는 달라지게됨니다. 타이어가 슬립될때까지 브레이킹을 해야 제동거리가 짧을지 슬립없이 브레이킹을 해야 짧을지 순간적으로 판단해야합니다. 의도적인 슬립을 일으킬경우 슬립을 컨트롤할수 있는지도 확인해야합니다. 이러한 변수들을 라이더자신이 정확히 숙지하여야 안정적인 브레이킹을 할수있습니다. 슬립턴의경우 평지에서 연습해둬야 다운힐시 다이나믹한 턴을 즐길수있습니다.
2. 내리막에서의 경우 내리막의 경우는 평지의 경우보다 제동거리가 길어지고 자전거와 라이더의 무게중심이 더 앞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전복될 확율이 높아집니다. 이럴때 웨이빽이 필요합니다. 험로 다운시만 웨이백을 하는게 아닙니다. 안장에 앉아서 달리다가도 급제동시 전복될것 같다 싶으면 얼릉 웨이백 자세를 취해주어야만 전복방지와 제동의 두마리 토끼를 잡을수 있습니다.
3. 코너에서의 경우 코너의 경우 급제동은 엄청 위험합니다. 잘못하면 컨트롤을 잃고 벽으로 부딧히는 경우가 생깁니다. 어쩔수 없는 경우라면 코너의 안쪽으로 넘어질수 있도록 차체를 더 기울여 주는게 안전에 조금더 유리합니다. 또 가능하다면 차의 ABS 처럼 레버를 잡았다 풀어주는 동작을 취해주시는게 좋습니다.
4. 잭나이프시 전복되지 않을 포인트 숙지 잭나이프를 해보셨습니까? 단순히 트라이얼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잭나이프가 가능하신분은 급제동시 전복되지 않고 폼나게 다시 착지할 확율이 헐신 높습니다. 잭나이프가 익숙하지 않으시면 뒷바퀴가 어느정도만 들려도 이내 포기하고 앞으로 전복하게 됨니다. 잭나이프 연습하십시요.
5. 급제동시 웨이백여부 위에 한번 언급을 한것 같은데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웨이빽은 단순히 엉덩이를 안장뒤로 빼주는게 아닙니다. 우리는 자전거를 타기위해 좌우의 균형을 맞추어서 달리고 있습니다. 웨이백은 자전거의 균형을 앞뒤 상하로 맞추는 포인트입니다. 다운힐시 앞바퀴로 실리는 무게를 웨이빽을 함으로서 뒷바퀴에 무게를 같이 실어주는것입니다.그것이 안되면 앞쪽에 실린 무게에 제동이 더해지면 전복되게 됨니다. 하지만 웨이빽이 너무 뒤로 빠지게 되면 앞바퀴의 컨트롤이 안되게됨니다. 그 사이의 적정점을 찾아야합니다. 자전거에 따라 라이더의 무게에 따라 타는 스타일에 따라 그 적정점은 다 틀리게 됨니다. 본인이 찾는수밖에 없습니다. 이건 업힐시도 똑같이 적용됨니다. 상하의 균형을 잘 잡게되면 생각지 못했던 험로를 올라가는 자신을 볼수가 있습니다. 힘도 힘이지만 험로업힐은 기술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