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막신-
나막신은 진땅에서 신는 것으로 높은 굽을 하고 있으며
나막신은 진땅에서 신는 것으로 높은 굽을 하고 있으며
극자( 子)·목극(木)·목혜(木鞋) 등으로도 불리운다.
이 나막신은 양식은 휘어진 코와 높이 올라온 귀축에
이 나막신은 양식은 휘어진 코와 높이 올라온 귀축에
각기 태사혜와 동인한 선무늬를 부조로 돌렸는데
박음질의 감각까지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밑부분까지도 거치문대(鋸齒文帶)를 돌려 꾸몄는데
나막신으로서는 고급스럽고 화려한 의장으로 꾸민 신이다
-운혜-
운혜는 온혜(溫鞋)라고도 하며 마른날에 신는 부녀자용 가죽신이다.
-운혜-
운혜는 온혜(溫鞋)라고도 하며 마른날에 신는 부녀자용 가죽신이다.
이 운혜의 양식은 신울은 백색비단으로 하고
신바닥은 가죽을 댄 창이며 신안에는 계를 대고 곱게 박아 만들었다.
신바닥은 가죽을 댄 창이며 신안에는 계를 대고 곱게 박아 만들었다.
신코와 뒷꿈치에는 남색비단으로 태사혜의
선무늬와 동일하게 장식하였다.
-흑혜-
통일신라시대의 화는 신분에 따라 재료가 달랐으며,화대가 달려 있었다.
선무늬와 동일하게 장식하였다.
-흑혜-
통일신라시대의 화는 신분에 따라 재료가 달랐으며,화대가 달려 있었다.
이는 운두가 낮은 신발로 남녀가 모두 신었고,
남자의 것은 가죽으로, 여자의 것은 계, 나등으로 만들었다
-당혜-
당혜는 코에 당초문(唐草紋)을 놓은 것으로 양가 부녀(良家 婦女)들이 신었다.
남자의 것은 가죽으로, 여자의 것은 계, 나등으로 만들었다
-당혜-
당혜는 코에 당초문(唐草紋)을 놓은 것으로 양가 부녀(良家 婦女)들이 신었다.
운혜와 형태가 같은 것으로
안은 융같은 폭신한 감으로 하고
거죽은 여러색으로 화사하게 비단으로 만들었다.
-목화-
조선사대 왕 이하 문무관리들이 관복을 입을 때 신던 목이 긴 마른신으로
-목화-
조선사대 왕 이하 문무관리들이 관복을 입을 때 신던 목이 긴 마른신으로
가죽으로 만들었으며 신발의 목이 길어
반장화와 같이 생겼다.
목화는 그 형태나 장식에 알정한 규정이 없어 시대의 변천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반장화와 같이 생겼다.
목화는 그 형태나 장식에 알정한 규정이 없어 시대의 변천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태사혜-
남자들의 마른신으로 사대부나 양반계급의 나이든 사람의 편복에 신었고,
국말에는 왕도 평상복에 신었다.
위는 헝겁이나 가죽으로 만들었고 코와 뒤축에 희색 줄무늬 를 새겼다.
-짚신-
짚을 엮어 만든 신으로, 신발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것이다.
위는 헝겁이나 가죽으로 만들었고 코와 뒤축에 희색 줄무늬 를 새겼다.
-짚신-
짚을 엮어 만든 신으로, 신발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것이다.
남녀노소가 모두 신었고 코가 짧고 엉성하게 얽어 짜며
짚신의 종류로는 재료에 따라 왕골짚신, 부들짚신, 엄짚신, 고은짚신등이 있다.
-설피-
미끄러움 방지용으로 덧신는 신발
-설피-
미끄러움 방지용으로 덧신는 신발
출처 : 아름다운 추억여행으로
글쓴이 : 은ㅍr 원글보기
메모 :
'audd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요즘 아들 (0) | 2008.03.24 |
---|---|
[스크랩] 마음을 열어주는 따뜻한 편지..^^** (0) | 2008.03.24 |
[스크랩] 멋쟁이 부부생활 (0) | 2008.03.13 |
[스크랩] 티벳의 불가사의한 10대 현상 ... (0) | 2008.03.12 |
[스크랩] 소변 (0) | 2008.03.11 |